1. 서비스 명칭
- 위급 상황 분석을 위한 오디오 분류 모델
- 특정 오디오가 주어졌을 때, 그 오디오에 대응되는 위급상황이 무엇인지 분류
2. 서비스 배경 및 목적
- 사회 내 안전 취약계층 위급상황 인지 및 판단 보조 :
-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아동, 여성 1인 가구 등 사회 내 안전 취약계층을 포함한 전 국민 위급 상황 발생 시, 사회안전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위급 상황 발생 시,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여 유관기관(경찰청, 소방청, 복지기관, 의료기관 등)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 예를 들어, 소통이 불가능한 신고자의 신고 음성 데이터에서, 주변 소리 분석만으로도 대처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를 통한 상황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
- 오디오 분석을 통해, AI 모델 기반의 라이프스타일 패턴의 추정 및 개인화 돌봄 서비스 개발 및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인공지능 서비스 유사 사례 분석
- 코클리어닷에이아이
- 비명 소리나 유리 깨지는 소리가 들리면 스마트폰 등으로 알림을 보내는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구축
4. 인공지능 모델의 입출력
- 입력 : 오디오 (파일형식 : .wav)
- 출력 : 상황분류 (13개 상황)
- 강제추행, 강도범죄, 절도범죄, 폭력범죄, 화재, 갇힘, 응급의료, 전기사고, 가스사고, 낙상, 붕괴사고, 태풍-강풍, 지진
- EX)
- ‘책상 밑으로 들어가’ → 지진
- ‘(장작타는 소리)’ → 화재
5. 데이터셋 구축방안
AIhub 위급상황 음성/음향 데이터셋
- https://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17
- Validation data를 training에 활용
- 16개의 상황 class 중에서 ‘도움요청, 실내, 실외’는 제외한 13개 class를 train에 활용
- AIHub 후처리하는 코드 제공 (학습셋, 시험셋 - 랜덤시드 고정)
6. 데이터셋 구성 목표
- 학습셋: 9,100개 (train 7800, val 1300)
- 강제추행 : 700개 (train 600, val 100)
- 강도범죄 : 700개 (train 600, val 100)
- 절도범죄 : 700개 (train 600, val 100)
- 폭력범죄 : 700개 (train 600, val 100)
- 화재 : 700개 (train 600, val 100)
- 갇힘 : 700개 (train 600, val 100)
- 응급의료 : 700개 (train 600, val 100)
- 전기사고 : 700개 (train 600, val 100)
- 가스사고 : 700개 (train 600, val 100)
- 낙상 : 700개 (train 600, val 100)
- 붕괴사고 : 700개 (train 600, val 100)
- 태풍-강풍 : 700개 (train 600, val 100)
- 지진 : 700개 (train 600, val 100)
- 시험셋: 650개
- 강제추행 : 50개
- 강도범죄 : 50개
- 절도범죄 : 50개
- 폭력범죄 : 50개
- 화재 : 50개
- 갇힘 : 50개
- 응급의료 : 50개
- 전기사고 : 50개
- 가스사고 : 50개
- 낙상 : 50개
- 붕괴사고 : 50개
- 태풍-강풍 : 50개
- 지진 : 50개
- 학습셋 및 시험셋의 클래스별 비율:
- 각 클래스별 1/13
- 모든 class가 동일한 비율로 데이터를 구성
7. 인공지능 모델 평가 방법
- 정확도 (accuracy) = 맞춘 샘플 개수 / 전체 샘플 개수
- 예시) 강제추행 10건, 절도범죄 10건 모두 강제추행이라고 추론할 경우 50%
8. 인공지능 모델 성능 목표
- 베이스라인 정확도 (accuracy) 53.0%
- 베이스라인 성능으로 모델 성능 목표 대체
9. 서비스 구축계획 및 사용 시나리오
- 그라디오로 웹 인터페이스 구성안 (입력: 이미지 파일 업로드, 출력: 텍스트)
- 입력 : 오디오 파일 업로드
- 출력 : 위급상황 클래스 텍스트
10. 서비스 기대효과
- 범죄 피해자 신변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 워치를 활용하여, 피해자의 위급상황 대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연계기관과 연계하여 취약계층 돌봄을 지원할 수 있다.
- 아동, 독거노인, 1인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사회 내 안전취약계층에게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