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챗GPT MS애저톤

AIFactory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교육] 🚀 우리 아이를 위한 과학동화 만들기

ksohn
2023.04.24 10:22
2402

INTP 팀

손경아  |  kyungasohn@gmail.com

김하림  |  shhr.kre@gmail.com

 

 

서비스 소개

서비스 배경

배경

아이들은 매일같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 나갑니다. 옛날에는 호기심 많은 아이들을 위해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옛날 옛적에~”로 시작하는 전래동화를 이야기해주고는 했습니다. 그러나 양육자 입장에서 다양한 개념을 매번 아이들 수준에 맞게 설명해주기란 쉽지 않습니다. 특히 과학과 관련된 지식은 재밌게 전달하기가 정말 어렵죠.

미디어가 발달한 지금은 그러한 개념들에 대한 교육 영상을 찾아 아이에게 보여준다는 쉬운 옵션이 있습니다. 하지만 양육자가 아이에게 직접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은 영상을 보여주는 것과는 또 다른 이점을 가집니다. 1) 양육자와 아이 간의 유대 강화, 2) 아이의 인지 능력 발달, 3) 아이의 정서 발달 등이 그것입니다.

하여, 아이에게 직접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 유저를 위해 [주제]를 넣으면 아이를 위한 동화를 만들어주는 프롬프트를 만들었습니다.

 

대상

  • 아이의 주 양육자
  • 유치원 선생님 등 아이를 대하는 직업군

 

기대 효과

  • 양육자와 아이 간의 유대 강화
  • 아이의 지식 함양
  • 아이의 정서 및 인지 능력 발달

 

프롬프트 설명

프롬프트 구성

목적 지정

너는 6살 아이들을 위한 과학 동화를 만들 거야.
동화는 흥미롭고, 상상력을 자극하면서도 개연성 있는 이야기일 거야.
아이들은 너의 동화를 읽고 어려운 과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거야.

흥미로운 어린이 과학 동화를 만들어달라는 목적을 전달합니다.

 

조건 지정

동화를 쓸 때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지켜줘.

- 쉬운 단어를 사용한다.
- "~했어요." 혹은 "~했답니다." 와 같은 어미를 사용한다.
- 이야기에는 기승전결이 있다.

예시가 있어도 어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으면 지나치게 어려운 표현과 뻣뻣한 말투를 사용합니다.

기승전결 조건이 있을 때 보다 드라마틱한 스토리를 생성합니다.

 

예시 전달

다음은 "면역체를 의인화하여 백신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 예시야.
동화 제목: 우리 몸의 지킴이 면역체

우리 몸에는 용감한 면역체가 살고 있어요. 면역체는 무서운 감염병을 무찔러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멋있는 분이랍니다.

하지만 어떤 감염병은 너무 강해서 면역체만의 힘으로 무찌르기 힘들어요.

“걱정마! 내가 도와줄게!”

이웃 마을에서 면역체를 도와주러 온 백신이 말했어요.

"우리를 어떻게 도와주실 건가요?" 면역체가 물었어요.

"내가 감염병의 약간의 부분을 가져와서 너희에게 보여줄게." 백신이 말했어요.

백신이 면역체에게 감염병의 일부분을 보여주었어요.

“우와! 대단해요!”

그것을 보고 면역체는 감염병과 맞서 싸우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이제 면역체는 감염병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와도 얼마든지 이겨낼 수 있게 되었어요.
면역체와 백신 덕분에 우리 몸 안은 안전하게 평화워졌답니다.

끝.

대화체가 많이 쓰이는 어린이 동화의 특징을 담아낼 수 있도록 예시를 추가했습니다.

마지막에 오는 지시문을 구분해낼 수 있도록 예시 이야기의 끝을 명시합니다.

 

지시문 I

먼저 "[과학 개념]"에 대해 설명해줘.

동화에서 다루고자 하는 과학 개념을 먼저 설명하게 합니다. 이 과정 없이 동화부터 만들게 하면 지식 교육 효과가 떨어지는 동화를 생성합니다.

지시문을 마지막에 뒀을 때 GPT의 수행능력이 가장 좋습니다.

 

지시문 II_기본 ver.

그 내용을 바탕으로 "[아이 이름]을 주인공으로하여 [과학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를 만들어줘.

지시문 II_의인화 ver.

그 내용을 바탕으로 "[아이 이름]이라는 이름의 [의인화할 대상]을 주인공으로하여 [과학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를 만들어줘.

GPT의 첫 응답 이후에 두번째 지시문을 제공합니다.

아이가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아이 이름을 주인공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물질을 의인화했을 때 더 재밌는 동화가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면 의인화 버전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Opt.) 이어쓰기

"[이야기가 끊긴 부분]"부터 이어서 써주되, 이야기를 마무리해 줘. 등장인물을 유지해 줘.

이야기가 중간에서 끊겼을 경우 이어서 써줄 것을 요구합니다.영원히 이야기를 이어가려할 때가 있기 때문에 이야기 갈무리를 지시합니다.

이어 쓰기 중에 난데없이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 등장인물을 유지하도록 지시합니다.

 

최종 프롬프트

너는 6살 아이들을 위한 과학 동화를 만들 거야.
동화는 흥미롭고, 상상력을 자극하면서도 개연성 있는 이야기일 거야.
아이들은 너의 동화를 읽고 어려운 과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거야.

동화를 쓸 때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지켜줘.

- 쉬운 단어를 사용한다.
- "~했어요." 혹은 "~했답니다." 와 같은 어미를 사용한다.
- 이야기에는 기승전결이 있다.

다음은 "면역체를 의인화하여 백신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 예시야.
동화 제목: 우리 몸의 지킴이 면역체

우리 몸에는 용감한 면역체가 살고 있어요. 면역체는 무서운 감염병을 무찔러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멋있는 분이랍니다.

하지만 어떤 감염병은 너무 강해서 면역체만의 힘으로 무찌르기 힘들어요.

“걱정마! 내가 도와줄게!”

이웃 마을에서 면역체를 도와주러 온 백신이 말했어요.

"우리를 어떻게 도와주실 건가요?" 면역체가 물었어요.

"내가 감염병의 약간의 부분을 가져와서 너희에게 보여줄게." 백신이 말했어요.

백신이 면역체에게 감염병의 일부분을 보여주었어요.

“우와! 대단해요!”

그것을 보고 면역체는 감염병과 맞서 싸우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이제 면역체는 감염병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와도 얼마든지 이겨낼 수 있게 되었어요.
면역체와 백신 덕분에 우리 몸 안은 안전하게 평화워졌답니다.

끝.


먼저 "[과학 개념]"에 대해 설명해줘.

 

그 내용을 바탕으로 "[아이 이름]이라는 이름의 [의인화할 대상]을 주인공으로하여 [과학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를 만들어줘.

 

결과물

💁‍♀️ User :

너는 6살 아이들을 위한 과학 동화를 만들 거야.

동화는 흥미롭고, 상상력을 자극하면서도 개연성 있는 이야기일 거야.

아이들은 너의 동화를 읽고 어려운 과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거야.

 

동화를 쓸 때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지켜줘.

 

- 쉬운 단어를 사용한다

- 이야기에는 기승전결이 있다

- "~했어요." 혹은 "~했답니다." 와 같은 어미를 사용한다

 

 

다음은 "면역체를 주인공으로하여 백신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 예시야.

 

동화 제목: 우리 몸의 지킴이 면역체

 

우리 몸에는 용감한 면역체가 살고 있어요. 면역체는 무서운 감염병을 무찔러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멋있는 분이랍니다.

 

하지만 어떤 감염병은 너무 강해서 면역체만의 힘으로 무찌르기 힘들어요.

 

“걱정마! 내가 도와줄게!”

 

이웃 마을에서 면역체를 도와주러 온 백신이 말했어요.

 

"우리를 어떻게 도와주실 건가요?" 면역체가 물었어요.

 

"내가 감염병의 약간의 부분을 가져와서 너희에게 보여줄게." 백신이 말했어요.

 

백신이 면역체에게 감염병의 일부분을 보여주었어요.

 

“우와! 대단해요!”

 

그것을 보고 면역체는 감염병과 맞서 싸우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이제 면역체는 감염병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와도 얼마든지 이겨낼 수 있게 되었어요.

면역체와 백신 덕분에 우리 몸 안은 안전하게 평화워졌답니다.

 

끝.

 

 

먼저 "물의 순환"에 대해 설명해 줘.

 

🤖 GPT :

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하고 귀중한 자원 중 하나입니다.

물의 순환은 지구 상의 모든 물이 자연적으로 순환되는 과정을 말해요.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 생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우리가 마신 물, 우리가 씻은 물, 강이나 호수의 물, 이 모든 물들은 물의 순환 과정을 거쳐 지구상에서 순환하고 있답니다.

 

물의 순환은 크게 증발, 수증기, 구름, 강우, 유출, 그리고 지하수순환으로 나눠집니다.

먼저, 해양, 호수, 강, 지하수 등의 물이 일정한 온도에 노출되면 물 분자는 증발하여 수증기로 바뀌어요.

이 수증기는 대기 중에 올라가 구름을 형성하게 되며, 구름은 바람에 의해 이동하면서 강우를 일으키게 됩니다.

강우는 지표면으로 떨어지고, 이어서 유출과 지하수순환을 거쳐 다시 대기 중으로 돌아가는 것이 물의 순환 과정이에요.

 

이렇게 물의 순환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에게 생명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우리 모두가 물을 아끼고, 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User :

그 내용을 바탕으로 "짱구이라는 이름의 물방울을 주인공으로하여 물의 순환에 대해 설명"하는 과학 동화를 만들어줘.

 

🤖 GPT :

동화 제목: 짱구, 물방울이 된 아이

우리 몸에는 물이 필요해요. 물은 식물이 자라고, 동물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것이랍니다.
하지만 물은 사라지지 않고, 지구상의 모든 물은 순환하며 우리에게 다시 돌아와요.

오늘은 짱구이라는 이름의 물방울이 이야기의 주인공이에요.
어느 날, 짱구는 하늘에서 떨어져 땅에 내려왔어요.
처음에는 바닥에서 조용히 굳어져 있었지만, 강한 태양 빛과 바람에 의해 증발하면서 공기 속으로 올라갔어요.

“우리는 이제 어디로 가나요?” 짱구가 물었어요.

“모든 물들은 하늘에서 출발해, 구름을 만들어요. 구름은 바람에 실려 오늘은 이곳에서 내려가고, 내일은 다른 곳에서 내려갈거에요.”
구름들이 말했어요.

구름 속에서 짱구는 다른 물방울들을 만났어요. 함께 하늘을 나는 것은 참 신나고 즐거웠어요. 그리고 언제나 희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배웠어요.

그러나 어느 순간, 구름이 음산한 곳에 도착하자 비가 내리기 시작했어요.
짱구는 하늘에서 바닥으로 떨어졌어요. 그리고 땅에 스며들면서 작은 시냇물이 되었어요.

“여기서 어디로 갈 건가요?” 짱구가 시냇물에게 물었어요.

“우리는 지금 작은 시냇물이에요. 조금씩 물이 모여 큰 강이 되어 바다로 흘러가요.” 시냇물들이 대답했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짱구는 다른 물과 함께 큰 강으로 흘러가게 되었어요. 짱구는 강을 따라 여행을 하면서 지구상에 있는 다양한 생명체들을 볼 수 있었어요.
그리고 결국, 짱구는 바다로 흘러들어 가게 되었어요.

“우리가 여기까지 왔구나!” 짱구가 외쳤어요.
이제 짱구는 바다에서 시작해서 구름이 되었고, 구름이 빗방울이 되어서 다시 바다로 돌아오게 된 멋진 여행을 끝냈답니다.

그리고 짱구는 물의 순환에 대해 많이 배웠어요. 빗방울이 되면 어떤 곳에서 떨어지던지간에 결국은 다시 바다로 돌아오게 되고, 물이 지상에서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도 배웠답니다.

이제 짱구는 더 많은 모험과 발견을 할 준비가 되었어요. 물의 순환은 끝이 아니죠. 물의 여행은 언제나 계속되니까요.

끝.

 

 

감사합니다.

 

 

4
4개의 댓글
로그인 후 이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