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journey
팔로워11명
주최대회0개
등장인물을 Sref Seed를 활용해 일관성 잇는 캐릭터를 만들어서 참조시켜 웹툰 스타일로 생성합니다.
제작한 방법은~~https://www.facebook.com/groups/mj.korea/permalink/2018059775330014/요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번 AI 웹툰 첫 단계 - “스타일을 정해라!”편에서, 미드저니(Midjourney)의 sref를 통해 일관성 있는 웹툰 스타일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그 sref를 활용해 다양한 캐릭터나 배경을 만들어보고, 본격적으로 웹툰에 등장할 캐릭터 라인업을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1. sref로 스타일 일관성을 테스트하기1) 기본 프롬프트 & sref 유지지난번에 찾아둔, 마음에 쏙 드는 **sref(예: sref 1692196619)**가 있습니다. 이제 이 sref가 정말로 *다양한 대상(캐릭터, 배경 등)*에서 일관성을 유지해줄 수 있는지 테스트해야 합니다.베이스 프롬프트: 2d Korean naver webtoon comic stylesref: --sref 16921966192) 변형 프롬프트 테스트베이스 프롬프트에 가벼운 변형 키워드를 추가하여 여러 이미지를 생성해봅니다.cityscape backgroundhandsome boycute girl각각 다른 요소를 요구하지만, sref를 적용하면 기본적인 그림체나 색감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변형 키워드만 넣었는데 전혀 다른 화풍으로 나온다면, sref를 재설정하거나 프롬프트를 조정해야 합니다.팁:sref가 유지된다고 해서 모든 결과물이 100% 동일하게 나오진 않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선 굵기, 채색 기법, 라인 스타일이 유사하다면 성공적으로 스타일을 고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너무 과도하게 디테일을 요구하거나, 반대로 sref와 맞지 않는 키워드를 넣으면 스타일이 깨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2. 삼국지 웹툰을 위한 캐릭터 설정1) “타이리 삼국지” 웹툰 기획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적인 감성을 녹인 “타이리 삼국지” 웹툰입니다.예전에 읽었던 중국 고전 삼국지를 요즘 세대에 맞게 재해석한다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죠.새로운 캐릭터와 배경을 통해 삼국지 영웅들을 색다른 모습으로 보여주고자 합니다.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주요 캐릭터 라인업입니다. 삼국지의 핵심 중 핵심, 도원결의의 주역인 유비, 관우, 장비를 시작으로 이후 등장할 캐릭터들(제갈량, 조조, 손권 등등)을 차근차근 만들 계획입니다.2) 캐릭터 프롬프트 생성하기원하는 스타일(sref)이 확정되었다면, 이제 캐릭터별 프롬프트를 만들어 미드저니에서 생성해봅니다. 저는 대략 15개의 캐릭터 프롬프트를 작성하여 테스트했는데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습니다.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해 프롬프트 초안을 만듭니다.예: “a 2d Korean naver webtoon comic style portrait of Liu Bei, wearing modern casual attire, heroic expression …”sref와 결합하여 최종 프롬프트 작성예: /imagine prompt: a 2d Korean naver webtoon comic style portrait of Liu Bei, wearing modern casual attire, heroic expression, --sref 1692196619여러 시도 후 괜찮은 이미지를 선택합니다.주의:AI가 만들어주는 캐릭터가 처음부터 마음에 쏙 들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여러 번 반복 생성을 해야 합니다.너무 오랜 시간을 쏟기보다는, 시간을 정해놓고 그 안에서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자칫하다간 캐릭터 찾는 데에만 밤을 새워버릴 수도 있으니까요.저는 챗GPT가 아니라 에이전틱AI 플랫폼인 어시웍스을 활용해서 다양한 프롬프트를 생성했습니다.만들어진 총 15개의 캐릭터 프롬프트를 미드저니를 통해서 생성했습니다.3. 도원결의 삼인방 - 유비, 관우, 장비삼국지하면 빼놓을 수 없는 유비, 관우, 장비! 저는 아래 과정을 거쳐 원하는 이미지를 골랐습니다. 결과적으로 세 캐릭터 모두 sref를 통한 통일된 웹툰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살린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최종으로 제가 고른 유비, 관우, 장비입니다. 자 캐릭터들로 펼쳐보는 삼국지! 어떨까요?4. 다음 단계는?캐릭터 라인업을 어느 정도 확정했다면, 이제 스토리 라인을 잡고 각 씬(Scene) 을 어떻게 연출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들어갈 배경, 소품, 액션 등도 같은 sref(스타일)로 계속 생성하며, 일관된 분위기를 맞춰주어야 합니다. 최종적으로는씬(scene) 구성컷 편집말풍선 및 효과출시 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물론 AI가 모든 걸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핵심적인 스토리텔링은 여전히 작가의 몫이고, 멋진 콘티를 구성하려면 직접 구상과 수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하지만, AI를 활용하면 기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다양한 시각 자료를 얻고, 그중 베스트를 골라 마무리 짓는 게 가능해집니다.정리하며…sref를 통해 원하는 웹툰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sref가 잘 작동하는지 기본 프롬프트 + 변형 키워드로 여러 테스트를 해보세요.시대적·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삼국지의 모든 캐릭터를 현대풍으로 재해석할 수도 있고, 전통 의상을 유지하면서 스타일만 현대적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모두 프롬프트 조절과 sref 활용에 달려 있죠.캐릭터 선정은 시간을 정해놓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계속 무한 생성을 하다 보면 끝이 없답니다.다음 글에서는 스토리라인을 어떻게 잡고, 씬을 만들어가야 할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삼국지의 명장면을 현대 감성으로 풀어낸다면 얼마나 재미있는 웹툰이 나올지 기대되지 않으시나요?그럼, 다음 편에서 또 만나 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AI를 활용하여 웹툰을 제작하는 전체 파이프라인 중 첫 번째 단계인 “웹툰 스타일 정하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 시리즈는 미드저니코리아의 조남경 님과 강동대학교 김한재 님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AI를 이용해 웹툰을 만들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을 드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전체 파이프라인 구조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어떤 과정을 거쳐 웹툰을 만들게 되는지 큰 그림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웹툰 스타일 정하기캐릭터 생성하기스토리라인 잡기씬(Scene) 생성하기컷 편집하기말풍선 넣기효과 넣기릴리즈(출시)이 중 오늘 다룰 내용은 첫 번째 단계인 “웹툰 스타일 정하기”입니다.왜 스타일이 중요한가?웹툰은 사실 “이미지 스타일” 이 곧 개성입니다. 독자들은 그림체만 봐도 특정 작가를 떠올리기도 하죠. 그렇기 때문에 초기에 웹툰의 주요 스타일을 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AI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때, 일관성 있는 스타일을 유지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한 컷은 두껍고 간결한 라인으로 그려졌는데, 다음 컷은 사실적인 페인팅 풍으로 나오면 독자들에게 “이게 같은 웹툰인가?” 하는 의문을 줄 수 있겠죠.Midjourney를 활용한 스타일 선택지금으로서는 가장 강력한 AI 이미지 생성 툴 중 하나로 꼽히는 Midjourney(미드저니)를 통해 스타일을 정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웹툰풍”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프롬프트에 넣으면, Midjourney가 해당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해줍니다.예시 프롬프트로“2d Korean naver webtoon comic style.” 을 입력하면, 한국 웹툰 느낌을 살린 2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있습니다. - 생성된 이미지 중 “이거다!” 싶은 것을 골랐다 하더라도, 앞으로도 계속 동일한 스타일로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죠. 단순히 “2d Korean naver webtoon comic style.”과 비슷한 표현을 매번 프롬프트에 입력한다고 해서 똑같은 그림체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Midjourney가 제시하는 결과물이 다소 랜덤성이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무수히 많은 프롬프트를 시도해야 하거나, 같은 모델로 수십 번 뽑아보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제가 원하는 웹툰 스타일은 찾았지만 동일한 스타일로 다음에 다른 캐릭터로 생성하거나 배경 분위기를 바꾸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아쉽게도 버리도록 하겠습니다.sref란 무엇인가?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sref입니다. sref는 간단히 말해 Midjourney 내에서 특정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레퍼런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특정 키워드를 프롬프트에 명시하는 것만으로는 재현하기 어려운, “나만의 스타일”을 잡아주기 위한 스타일 참조(reference)를 설정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sref는 Midjourney가 어떤 이미지를 어떤 스타일로 생성해야 하는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예를 들어,bash복사/imagine prompt: ... --sref <sref 코드>와 같이 sref 코드를 넣어주면, Midjourney가 해당 코드에 맞춰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됩니다.Tip: --random 옵션을 활용하면 Midjourney가 여러 스타일을 제시해줄 수 있으므로, 마음에 드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돌려볼 수 있습니다.sref가 잘 설정되어 있다면, 매번 프롬프트를 조금씩 바꾸더라도 “핵심적인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유지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제가 원하는 스타일의 sref를 찾은 모습입니다.스타일을 찾는 노하우다양한 레퍼런스 찾기네이버 웹툰, 카카오 웹툰, 또는 해외 코믹 등 여러 스타일을 미리 살펴보고 “내가 원하는 느낌”을 구체화합니다.여기에 작가별 그림체나 채색 스타일, 라인 굵기, 배경 디테일 등 구체적인 특징들을 포스트잇 등에 적어보는 것도 좋습니다.아래는 다양한 레퍼런스를 찾기 위해서 여러번 시도를 하는 모습니다. 혹은 sref를 모아놓은 사이트를 활용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https://aifactory.space/page/midjourney/forum/discussionMidjourney에서 키워드 실험위에서 메모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2D, Korean Webtoon style, flat colors, bold outlines, minimal shading 등등의 키워드를 조합해 보세요.한두 번만 해서는 원하는 결과가 잘 안 나올 수 있으니, 여러 번 시도해봅니다.sref 찾기 혹은 생성미드저니 커뮤니티나 포럼에서 공유된 sref를 참조하거나 직접 --random 옵션을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마음에 드는 결과물이 나왔다면, 해당 작업에서 sref 정보를 따로 저장해두세요.다음번 이미지를 만들 때도 같은 sref를 적용하면 유사한 스타일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일관성 테스트여러 이미지(특히 주인공, 배경, 소품 등)를 생성해 보고, 전반적으로 *“내가 원하는 웹툰 분위기”*를 잘 살리고 있는지 체크합니다.만약 스타일이 계속 흔들린다면, 프롬프트 구성을 다시 조정하고 sref 세팅을 재점검합니다.다음은?이렇게 이미지와 sref를 통해 웹툰의 스타일을 확정했다면, 이제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겠죠. 다음 편에서는 캐릭터 생성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주인공, 조연, 단역까지 스타일 일관성을 어떻게 맞출지캐릭터마다 다른 개성을 어떤 식으로 부여할지Midjourney와 같은 AI 모델을 활용한 캐릭터 프로필 잡기 등등을 자세히 살펴볼 것입니다.AI가 발전하면서, 웹툰을 좀 더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세상이 왔지만, 여전히, 스토리 기획력과 분위기 연출은 사람이 직접 주도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그 중 분위기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스타일이니, 이번 단계를 꼼꼼히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결론스타일 정하기는 웹툰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Midjourney와 같은 AI 툴을 활용해 쉽게 “웹툰풍” 이미지를 뽑을 수 있지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sref 같은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원하는 스타일을 찾을 때까지 다양한 프롬프트와 sref 설정을 시도해 보세요.앞으로 이어질 글을 통해 AI를 활용한 웹툰 제작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문의로 남겨주세요!다음 편에서 뵙겠습니다!(이 기술블로그는 미드저니코리아 조남경 님과 강동대학교 김한재 님의 팁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rtwork style~~ Pink Pink.p : cute girl --niji 6 --sref 3963567759.
양산형 에니메이션 그림체 Prompt : cute girl --sref 4231637641 --niji 6
Key color Yellow 의 Artwork style sref seed prompt : cute girl --niji 6 --sref 2883753086
흑백 필름 효과를 만들어주는 sref seed Prompt : photo of cute Korean girl --style raw --sref 1291792951 --stylize 250 --v 6.1
핑크 핑크 블링블링 만화체 prompt : cute girl --sref 4044318593 --niji 6
가벼운 카툰 스타일 그림체.prompt : cute girl --niji 6 --sref 3909075437
가벼운 스케치 만화 그림체동양화에 좀 더 어울릴꺼 같은 느낌이네요~~ Prompt : cute girl --sref 3057690620 --niji 6
디테일한 외국 삽화 스타일의 sref seed Prompt : cute girl --sref 1764821455
회화풍의 Artwork sref seed Prompt : cute girl --sref 3534976335 --niji 6
모자이크 스타일이 잘 들어나는 artwork style prompt : cute girl --sref 3321185654 --niji 6
Key color 는 Pink 의 거친 터치가 특징 Prompt : cute girl --sref 4001601886 --niji 6